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는 현대 도시화와 기술 발전의 맥락에서 등장한 중요한 교통 혁신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다양한 필요성과 배경에서 기인하며, 향후 도시 교통의 미래를 크게 변화시킬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의 배경 및 필요성과 함께 국내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 셔틀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 배경
1) 도시화 및 교통 혼잡: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교통 혼잡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도심 지역에서 차량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도로 인프라의 확장은 제한적입니다. 자율주행 셔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소형 전기차로 운영되며, 도심 내 단거리 이동에 최적화되어 있어 혼잡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보완합니다.
2)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 교통은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자율주행 셔틀은 대체로 전기차로 운영되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효율적인 경로 설정과 최적화된 운행으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도시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대중교통 접근성 강화: 자율주행 셔틀은 대중교통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대중교통이 미치지 않는 지역이나 고령자, 장애인 등 교통 약자를 대상으로 한 "라스트 마일" 서비스로 유용합니다. 이들은 기존 대중교통과 연계하여 승객을 주요 교통 허브까지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4)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 기술 발전: 자율주행 셔틀은 최신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인간의 운전 실수로 인한 사고를 줄이고,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2. 필요성
1) 교통 혼잡 완화: 자율주행 셔틀은 정해진 노선을 따라 운행하며, 차량 간 간격을 최소화하여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혼잡을 완화시킵니다.
2) 안전성 향상: 인간의 실수로 인한 사고를 줄이고, 첨단 안전 시스템을 통해 더욱 안전한 이동을 보장합니다.
3) 편의성 증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쉽게 예약하고 탑승할 수 있으며, 정시 운행과 편안한 탑승 환경을 제공합니다.
4) 환경 보호: 전기차 기반의 자율주행 셔틀은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대기질 개선에 기여합니다.
5) 생산성 향상: 자율주행 셔틀은 운전자 없이 운행되므로 운전자 인건비를 절감하고, 운행 효율성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3. 국내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사례
* 대부분이 예약형이며 해당 앱을 다운 받아 설치하여 예약하여 사용함
1) 서울 마포구 상암동
[1] A02
| 운영사 | SWM |
| 차량 | 기아 카니발 |
| 탑승인원 | 휠체어 탑승시 2인, 미탑승시 6인 |
| 운행시간 | 월~금 09시 30분~17시(휴식 12시~13시30분) |
| 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역(한샘사옥앞) - 새누리어린이공원 - 상암휴먼시아아파트 - 상암초등학교 - 상암 DMC 홍보관 - 누리꿈스퀘어 - LG유플러스상암사옥 - 월드컵파크 5단지, 상암중·고등학교 입구 - 구룡근린공원 - 상암DMC입구 -DMC첨단산업센터 입구 - 드림타워 - MBC - SBS - 상암동주민센터 |
| 비고 | 요금 2,000원 |

[2] A21
| 운영사 | 에스유엠(개발-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차량 동역학 및 제어 연구실) |
| 차량 | 현대 솔라티 |
| 탑승인원 | 10인 |
| 운행시간 | 화~토 10~17시(휴식 12시~13시) |
| 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역(한샘사옥앞) - 디지털미디어시티역(9번출구) - SBS - 다목적구장(난지천공원방면) - 하늘공원 - 다목적구장(하늘공원방면) - 서부면허시험장(난지천공원방면) - 박정희도서관 - 월드컵파크 3단지 후문 - 월드컵경기장 |
| 비고 | 요금 1,200원 |


2) 여의도 A01
| 운영사 | 현대자통차 |
| 차량 | 현대 쏠라티 |
| 탑승인원 | 10인 |
| 운행시간 | 월~금 10시~ 16시(휴식 12시~13시) |
| 노선 | 둔치주차장 - 의원회관 - 국회1문 - 국회 도서관 - 본관 3문 - 소통관 |
| 비고 | 요금 무료 |


3) 청계천 A01
| 운영사 | 42dot |
| 차량 | 자체개발차량 |
| 탑승인원 | 6인 |
| 운행시간 | 월~금 09시~16시(휴식 12:00~13:30) |
| 노선 | 청계광장 - 세운상가 - 광장시장 |
| 비고 |


4) 청와대 A01
| 운영사 | SUM(개발-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차량 동역학 및 제어 연구실) |
| 차량 | 현대 카운티 |
| 탑승인원 | 11인 |
| 운행시간 | 월~금, 9시~17시(휴식 12시~13시) |
| 노선 | 경복궁역(국립고궁박물관) - 서촌 - 청와대 - 춘추문 - 국립민속박물관 - 경복궁역 순환 |
| 비고 | 정규노선 편성(2024.6), 요금 성인 1400원, 청소년 800원, 어린이 500원 |


5) 서울 심야 A01
| 운영사 | SUM(개발-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차량 동역학 및 제어 연구실) |
| 차량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카운티 |
| 탑승인원 | 23인 |
| 운행시간 | 월~금 23:30~04:10 |
| 노선 | 흥인지문.동대문역 - 종로1~6가 - 광화문 - 서대문역 - 충정로역 - 아현역 - 이대역 - 신촌역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 비고 | 정규 편성 7월 예정, 2,500원 이하 예정 |


6) 용인A01
| 운영사 | 42dot |
| 차량 | 자체개발차량 |
| 탑승인원 | 5인 |
| 운행시간 | 화~금, 9시~16:20 / 토~일, 10:30~16:50 |
| 노선 | 자율주행 셔틀 정류장 - 자율주행 셔틀 정류장 순환 |
| 비고 | 박물관 방문자 한해 무료 |


7) 성남 판타G버스
| 운영사 | 경기도자율주행센터 |
| 차량 | 14인승 버스 |
| 탑승인원 | 14인승 |
| 운행시간 | 평일 07:30~19:00, 소유시간 30분, 시간당 2회 행 |
| 노선 | 기업성장센터 – 금토천교 – 판교육북편 – 판교호반쎄및플레이스 – 복물육교 – 삼평교 – 기업성장센터 |
| 비고 | 전신은 제로셔틀로 서비스 종료 |


8) 인천공항 자율주행
[1] 제1여객터미널 장기주차장
| 운영사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인포뱅크, 에이텍모빌리티 |
| 차량 | 현대차량 |
| 탑승인원 | 9인승(정기형), 4인승(예약형) |
| 운행시간 | 평일 10~4시(주말 공유일 제외), 시간당 2~3회 운영 |
| 노선 | 제1여객터미널 장기주차장 주변도로(약 2km) 순환 |
| 비고 | 정기형, 예약형 |

[2] 제1여객터미널 - 제2여객터미널
| 지원 | 도로교통공단 |
| 차량 | 미정 |
| 탑승인원 | 미정 |
| 운행시간 | 미정 |
| 노선 | 제1여객터미널 - 제2여객터미널 |
| 비고 | 9월 경 통신 인프라 구축 완료, 10월부터 시험 서비스 |
8) 세종 자율주행 셔틀
| 운영 | 42dot |
| 차량 | 자체개발차량 |
| 탑승인원 | 5인 |
| 운행시간 | 오전 7시 ~ 오후 7시 |
| 노선 | 국립세종도서관 정문 – 정부세종청사 - 고용노동부 옥외주차장 – 보건복지부 - 언양초등학교 맞은편 - 가재마을 12단지 - 가재마을 7단지 - 가재마을 4단지 - 가재마을 3단지 - 가재마을 7단지 - 가재마을 11단지 - 언양초등학교 – 고용노동부 - 11동 옥외주차장 부근 - 국립세종도서관 |
| 비고 |

9) 제주도
[1]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네모라이드)
| 운영 |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카카오모빌리티, 라이드플럭스 |
| 차량 | 현대 쏠라티 |
| 탑승인원 | 12인승 |
| 운행시간 | 주말, 공휴일 제외 |
| 노선 | 제주첨단단지와 제주도 일원 총 11.7km 구간 |
| 비고 | 서비스 기간 9월까지 |

[2] 탐라자율차
| 운영 | 라이드플럭스 |
| 차량 | 현대 쏠라티(12인승, 해안도로 순환형), 아이오닉 일렉트릭 |
| 탑승인원 | 쏠라티 12인승, 아이오닉 일렉트릭 2인승 |
| 운행시간 | 주말, 공휴일 제외 |
| 노선 | 제주 국제공항 근처 해안도로, 중문관광단지 |
| 비고 | 해안도로는 2대 운영, 중문관광단지 1대 운영 |


10) 대구 테크노폴리스
| 운영 | 소네트 |
| 차량 | 카니발 |
| 탑승인원 | 6인 |
| 운행시간 | 평일 10시 ~ 17시 (주말, 공휴일 제외) |
| 노선 | 수성 알파시티 일대 순환형 노선(대공원역~수성 알파시티 내부~대공원역으로 이어지는 약 6km 구간 |
| 비고 | 2,000원 |

11) 충청북도 음성
| 서비스명 | 모두타유 |
| 차량 | 자율주행 셔틀 2대(상행선, 하행선) |
| 탑승인원 | 15인승 |
| 운행시간 | 평일 9~17시, 8회 운행 |
| 노선 | 덕산읍출장소 ~ 한국건설생활환경 시험연구소 |
| 비고 | 1단계 2025년 착공, 2026년 운행, 2단계 2027년 착공, 2028년 운행 |

12) 충청남도 내포신도시
| 운영 | 롯데정보통신 |
| 차량 | 자체개발 |
| 탑승인원 | 15인승 |
| 운행시간 | 주말 공휴일 제외,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 오후 6시~7시, 주간에는 주정차 계도 6회, 야간에는 방범순찰 2회를 실시 |
| 노선 | ∙ 주정차 계도 활동 노선: 도서관사거리 – 도청삼거리 – 목리교사거리 – 적십자사거리 – 소방서사거리 – 홍성고사거리 – 신리마을사거리 - 교육청사거리 ∙ 방범순찰 활동 노선 : △1구간 숲속하늘소공원, 예학충예사거리, 의향예학사거리, 예목의향사거리, △2구간 소방서사거리, 자경마을사거리, 물팽이골사거리, 한울초사거리 등 |
| 비고 | 당진이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로 선정, 당진까지 운행구간 확장 예정 |


13) 경상북도 도청 신도시
| 운영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
| 차량 | 소형 버스 |
| 탑승인원 | 15인 |
| 운행시간 | 주 5회(평일) 실증운행 |
| 노선 | 도청~경북개발공사, 8km 구간 |
| 비고 |


13) 경상남도 하동군
| 운영 | ? |
| 차량 | 전기 승합차량 |
| 탑승인원 | 20인 |
| 운행시간 |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행하게 되며 운행횟수는 오전 4회와 오후 6회 등 모두 10회 |
| 노선 | ∙ 1단계 생활형: 하동버스터미널~하동공설시장~행정복합센터~하동문화예술회관~하동군청~하동역 ∙ 2단계 관광형: 하동버스터미널~화개버스터미널 |
| 비고 | 1단계 2025년 착공, 2026년 운행, 2단계 2027년 착공, 2028년 운행 |

2. https://www.koti.re.kr/user/bbs/cardnewsView.do?bbs_no=7751
3. https://www.mk.co.kr/news/it/10196970
4.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8437
5.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68769.html
6. https://namu.wiki/w/%EC%84%9C%EC%9A%B8%EC%9E%90%EC%9C%A8%EC%B0%A8
7. https://www.airport.kr/co/ko/cmm/cmmBbsView.do?FNCT_CODE=121&NTT_ID=27061
8. https://ggzerocity.or.kr/?p=85
9. http://www.hadon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02
10. https://www.dailycc.net/news/articleView.html?idxno=764147
12. https://www.sedaily.com/NewsView/2DBV5GWWPM
13. https://www.okcb.net/104235
14. https://www.rideflux.com/tamra-jeju
15. https://nemoridejsp.oopy.io/
'[04] 자율주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 09. 자율주행 인공지능 (1) | 2025.04.27 |
|---|---|
| 08. 해외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 (0) | 2024.08.24 |
| 06. 정밀지도 (feat. LDM) (0) | 2024.07.21 |
| 05. V2X 메시지 (0) | 2024.07.07 |
| 04.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및 특례 (2) | 2024.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