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FT 마켓플레이스란?
NFT 마켓플레이스는 NFT를 저장, 표시 및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사용자는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NFT를 발행(생성)하거나 구매, 판매할 수 있으며, 음악, 비디오 클립, 게임 내 자산, 트레이딩 카드, 밈 등 다양한 NFT 자산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NFT 거래를 위해서는 암호화폐 지갑과 지갑에 있는 금액, 사용자 계정을 설정해야 합니다.
* 마켓 플레이스 중 드롭스는 유명 크리에이터의 NFT를 가장 먼저 만나는 1차 마켓이고, 마켓 플레이스는 자유롭게 사고팔고 거래하는 2차 마켓입니다.
2. 운영 원칙
1) 등록
마켓플레이스마다 등록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계정을 생성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 후 암호화폐 지갑을 연결해야 합니다.
2) NFT 구매
NFT는 정액 가격으로 구매하거나 경매를 통해 구매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구매자가 소유자에게 제안을 제출하고 가격을 협상할 수도 있습니다.
3) NFT 판매
디지털 자산을 업로드한 후, 정액 가격을 입력하거나 경매를 통해 판매할 수 있습니다. 플랫폼은 콘텐츠를 확인 후, 승인이 완료되면 판매를 진행합니다. 구매가 이루어지면 소유권 이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4) NFT 채굴
사용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해 NFT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MetaMask, Coinbase Wallet 등 ERC-721을 지원하는 지갑이 필요합니다.
3. 국내 마켓플레이스
1) DOSI
라인 넥스트에서 만든 마켓플레이스입니다. 구글, 라인, 페이스북, 네이버 등 소셜 로그인을 통해 회원 가입을 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자체 지갑을 만들 수 있어 초보자가 NFT를 경험하는데 편리합니다.
2) TopPort
SK텔레콤에서 만든 마켓플레이스로 계정을 만들면 자동으로 지갑을 만들어 줍니다. 대부분의 거래소가 암호화폐로 가격을 표시하는 것과 달리 원화로 표시해 차별점을 제공합니다. 쥬쥬 콩순이를 만든 영실업의 NFT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클리드롭스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크립토 지갑, ‘클립’을 통해서 클레이(Klay) 화폐를 사용해서 NF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루에 다 한 명의 아티스트만 집중할 수 있도록 24시간이라는 한정 시간 동안만 구매할 수 있도록 진행합니다. 평소에 파운데이션, 오픈씨, 다른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어마어마한 이더리움 가격 때문에 구매할 엄두도 못냈던 작가들의 작품을 보다 더 접근 가능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4) 업비트 NFT : 드롭스와 마켓 플레이스 두가지 마켓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회원 등급에 따라 거래가 가능하며 드롭스 거래를 비트코인으로 거래됩니다. 또한 더치옥션(시간이 지날수록 가격이 낮아지는 경매)도 있습니다.
5) Konnect World
신규 블록체인 기업 ‘Konnect’라는 곳에서 만든 마켓플레이스입니다. ‘Konnect World’라는 블록체인 세계관을 바탕으로 마켓플레이스 외 다른 분야 확장을 복표로 하고 있습니다. 신라면세점 VIP 혜택을 얻을 수 있는 NFT 카드를 개발하였습니다.
https://konnect-world.com/views/index_en.html
6) 3space Art
세 번째 공간(3space Art)은 예술 작품 NFT만 취급하는 예술 NFT 전문 마켓플레이스입니다. 기성 작가들의 자품이 많이 올라와 있으며, 이더리움과 클레이튼 기반 NFT가 많이 보입니다. 가격은 원화로 표시하였습니다.
7) 캔버스 : 격주마다 신진 작가들의 한정판 NFT를 판매하는 플랫폼입니다. 캔버스 미술 거래 플랫폼을 통해서 NFT를 거래하는 이 플랫폼은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원화로도 결제가 가능합니다. 글로벌 NFT 카켓 프렐이스 서비스 중에서도 일부만 USD 거래가 가능한 것에 비해 더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https://feather-second-602.notion.site/CANVERSE-e33f01ff79c94a859ed9b8b88b619c7
4. 해외 마켓플레이스
< 해외 일반 >
1) OpenSea
해외 플랫폼으로 가장 큰 NFT 마켓플레이스로 NFT 개념이 알려지기 전부터 나온 마켓플레이스로 이더리움 형식만이 아닌 다른 형식들도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거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콘텐츠를 올릴 때 수수료가 붙어 배보다 배꼽이 더 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 Rarible
이더리움, 소라나 테조스, 폴리곤, 플로우 네트워크의 NFT를 거래할 수 있는 곳입니다. 채팅, 알람, 모바일 브라우저 등 유저 친화적인 기능이 많아 OpenSea보다 사용에 편합니다. 또한 사파리 브라우저에서도 지갑 연결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앱 기능은 제한적입니다.
3) ShowTime
여러 플랫폼의 NFT 아트가 모여 있는 곳으로 최신 트렌드 아트와 작가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작가의 모든 작품과 SNS를 확인할 수 있고 컬렉터의 SNS도 확인할 수 있어 팔로우하여 유용한 정보들을 빠르게 받아볼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터와 오너의 이름이 다를 경우 이미 판매된 작품으로 경로 확인도 가능합니다.
4) LooksRare
NFT 거래와 ‘스테이킹(Staking, 개인 소유의 암호화폐를 네트워크에 예치하고, 이자를 받는 것)’을 통해 ‘Looks’라는 자체 암호화폐를 얻을 수 있습니다. 거래를 통해 자체 암호화폐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해 다시 거래를 활성화하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5) X2Y2
해외에서 한 때 ‘수수료 인하 프로모션’으로 OpenSea 아성을 강하게 위협했던 거래소입니다. 수수료 0% 전략으로 관심을 끌었습니다.
6) Magic Eden
대부분의 해외 마켓프레이스가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으로 하는 반면, Masic Eden은 솔라나 네트워크 기반으로 합니다. 소라나 기반 마켓플레이스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지갑 역시 메타마스크(이더리움 기반, 확장성, 멀티체인)가 아닌 팬텀 지갑(솔라나 기반, 고속 거래, 단일체인)으로 이용합니다.
7) Coinbase NFT
국내 1위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가 NFT를 거래하는 것처럼 북미 최대 암호화폐 거래서 코인베이스가 운영하고 있는 마켓플레이스입니다.
< 해외 Curated Market >
8) KnowOrigin
큐레이션 예술 작품 NFT를 거래할 수 있는 곳입니다. 큐레이션 거래소인만큼 아무나 NFT를 민팅(발행, 등록)할 수 없으며, 크리에이티브 커뮤니티에 가입해 ‘아티스트’가 되어야 가능합니다.
9) Nifty Gateway
예술 NFT에 집중하고 있으며, Gas Fee(암호화폐 거래 수수료‘가 없는 것이 장점입니다.
10) Foundation
예술 분야 NFT에 집중하고 있는 곳으로 그리 차별화는 보이지는 않습니다.
11) SuperRare
홈 화면이 인스타그램처럼 피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pace’라고 불리는 온라인 갤러리와 매거진, Shop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해외 기타 >
12) Reddit NFT
세계 최대 커뮤니티인 Reddit에서도 NFT 마켓플레이스를 만들었습니다. NFT는 아바타로 Reddit 계정만 있으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13) Gametop NFT
게임 소매점 기업 Gamestop의 NFT 마켓플레이스입니다. 사용자들은 유료 결제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기 때문에 괜찮은 게임 NFT가 등장한다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 Aggregator >
Aggregator는 마켓플레이스라고 하기 보다는 장바구니에 더 가깝습니다. OpenSea 등 기본 마켓플레이스에서는 한번에 한 개의 NFT만 구매가 가능했는데 굉장히 불펴한 경험입니다. NFT Aggregator를 통해 여러 곳에서 NFT를 한번에 구매하거나 여러개의 NFT를 한번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14) Genie
세계 최대의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인 인수한 Aggregator 서비스입니다. NFT 컬렉션에 속한 개별 작품을 최저가로 구매하는 ‘Sweep’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특정 컬렉션을 선택하면 아이템 개수 혹은 잔고를 기반으로 원하는 NFT를 최저가로 한번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15) Gem
‘Analytics’ 기능을 통해 다른 거래소보다 NFT 정보를 상세하게 구현했습니다. 또한 콜렉션 러래량, 최저가의 시각화를 통해 구매자가 비교하여 구배매하는 데에 훨씬 편합니다. 기존에는 개별 NFT 홀더(구매자)만 볼 수 있을 뿐, 여러 NFT 홀더를 한번에 보여주는 기능이 없었는데 Gem을 통해서 한번에 볼 수 있습니다.
1. https://www.addevice.io/blog/how-to-create-an-nft-marketplace
2. https://bap-software.net/kr/knowledge/what-is-nft-marketplace/
3.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646/
4. https://brunch.co.kr/@rightbrain/118
5. https://brunch.co.kr/@rumierumie/84
'[06] N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토큰 표준(feat. FT와 NFT 차이) (0) | 2025.01.19 |
---|---|
01. NFT(Non-Fungible Token)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