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0. NFT 시작

클라우드와 같은 인프라를 포함하여 OTT(Over the Top), 스트리밍 서비스, 그리고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까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만 하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보편화되었습니다. 이러한 구독 서비스가 디지털 경제의 핵심 특징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접속'이 아닌 '소유'라는 개념에 주목하게 만드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2021313, 미국 크리스티 경매에서 디지털 아티스트 비플(Beeple)의 작품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가 경매에 올랐습니다. 이 작품은 비플이 20075월부터 13년 동안 매일 업로드한 이미지 5,000개로 구성된 콜라주 작품으로, 100달러에서 시작된 경매가 약 2주간 진행된 끝에 최종적으로 6,930만 달러(785억 원)에 낙찰되었습니다. 비플은 "예술가들은 지난 20년 넘는 시간 동안 디지털 기기와 기술로 작품을 창작해 인터넷에 배포했지만, 이를 소유하거나 수집할 방법은 없었습니다. NFT(Non-Fungible Token)의 등장으로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1. NFT?

 

NFT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우리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뜻합니다. 쉽게 말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토큰으로, 다음 세 가지 주요 특징이 있습니다:

 

[ 복제불가 (Non-fungible) ] [ 소유권 인정 ] [ 희소성 부여 ]

 

NFT는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가능한 암호화폐와는 달리, 각 토큰에 고유한 인식 값이 부여되어 대체가 불가능합니다. 이는 곧 교환이나 복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NFT는 암호화폐 거래와 유사하게 블록체인에 기록되지만, 소유권, 판매 이력 등 디지털 자산의 정보를 함께 저장합니다. 이를 통해 최초 발행자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고유의 식별 값이 각 NFT에 부여되므로 복제도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NFT 기술은 원본임을 증명할 수 있으며, 세상에 단 하나뿐인 디지털 아이템을 만들거나 한정된 수량의 NFT를 발행하여 희소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2. NFT 시스템 모델

NFT 시스템은 그림과 같이 P2P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블록체인은 분산원장기술로, 참여자가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블록체인에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통해 NFT의 기능을 정의하고 발행합니다. NFT 시스템의 주요 참여자는 창작자와 구매자로 구성되며, 동작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창작자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재화를 NFT 시스템을 통해서 NFT로 발행(minting)할 수 있습니다.

2) NFT를 발행하거나 판매할 때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고 새로운 트랜잭션을 전송합니다.

3)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서 확인(confirm)된 후, 새로운 블록에 NFT의 메타데이터와 소유자 정보가 추가됩니다.

4) 구매자가 NFT를 구입한 경우, 작품의 소유자, 구매가격, 소유권 변경, 인수가격 등의 메타데이터 정보가 블록체인에 저장됩니다.

5) 구매자는 NFT 미술품의 소유권을 가질 수 있으나 창작자의 실제 그림, 원본 파일은 받을 수 없습니다.

6) 창작자는 NFT가 판매되어 소유자가 바뀔 때마다 보상을 받게 됩니다.

 

NFT 시스템은 아래 표와 같이 디지털화, 저장, 서명, 발행, 확인 등 기능별로 최소한의 프로토콜을 정의합니다.

 

 

3. 국내외 시장 동향

 

NFT 시장은 디지털 자산이 새로운 투자처로 떠오른 2022년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했습니다. 글로벌 NFT 거래액은 2019년 약 6,200만 달러에서 2020년 약 25,000만 달러로 4배 이상 증가했으며, 20211분기에는 1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했습니다.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기업 체이널리스(Chainalysis)2022NFT 시장 규모를 약 269억 달러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NFT에 대한 관심도는 2021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NFT 관련 검색량은 202110월 수준으로 회귀했으며, 이는 NFT 구매로 인한 손해와 지정학적 이슈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디지털 자산보다 다른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NFT 분야별 실적을 살펴보면 다양한 분야의 NFT가 있겠지만, 실적이 가장 높은 분야를 살펴보면 콜렉터블 NFT, 게임 NFT, 아트 NFT, 메타버스 NFT, 유틸리티 NFT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NFT 관련 활성화된 지갑 수, 판매량, 거래량을 나타냅니다.

 

1) 콜렉터블 NFT는 판매량은 270만 건, 총 거래량 60억 달러 이상이며, 한 번이라도 거래가 발생한 지갑 수를 뜻하는 활성 지갑 수는 50만 개 이상입니다.

2) 게임 NFT는 해당 항목들 중에 20 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기준 게임 NFT의 활성화된 지갑 수는 약 87만 개에 도달했고 65,337만 달러입니다.

3) 아트 NFT는 약 607,302만 달러로 활성 지갑 수와 판매량은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가로 거래되기 때문에 유동량은 다른 분야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라 볼 수 있습니다.

4) 메타버스 NFT20221분기 기준 산업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편입니다. 거래량은 5300, 36,500만 달러에 달한다. 유틸리티 NFT는 거래량이 27700만 달러로 가장 낮은 순위입니다.

 

NFT 시장에 진출한 주요 글로벌 기업으로는 Ubisoft, CAPCOM, ATRI 등이 있으며, 국내 기업으로는 폴라리스오피스, 버킷스튜디오, 서울옥션 등이 있습니다. NFT는 디지털 자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1. https://www.investopedia.com/non-fungible-tokens-nft-5115211

2. https://brunch.co.kr/@rightbrain/118

3. https://www.skkuw.com/news/articleView.html?idxno=23147

4. https://www.itfind.or.kr/WZIN/jugidong/2016/file3643844800807691680-2016(2021.09.29)-38.pdf

5. https://www.salesforce.com/kr/hub/crm/what-is-an-nft/

6. https://www.eventx.io/ko/blog/nft-%EB%9C%BB

7. https://www.itfind.or.kr/WZIN/jugidong/2056/file1172218666586112260-2056(2022.07.27)-28.pdf

 

728x90
LIST

'[06] N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토큰 표준(feat. FT와 NFT 차이)  (0) 2025.01.19
02. NFT 마켓플레이스  (1) 2025.0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