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1. 메타버스 플랫폼이란?

메타버스 플랫폼(Metaverse Platform)이란 메타버스의 기반이 되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현실을 디지털 기반의 가상 세계로 확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가상 공간에서 아바타(avatar)를 통해 사회, 경제, 교육, 문화, 과학 기술 등의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2.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징

메타버스 플랫폼은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생활형, 게임형 가상 세계를 구현합니다.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과 달리, 끝없이 확장되는 오픈 월드에서 제약없는 활동이 가능합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경제 생태계를 만들고 있습니다.

 

1) 몰입형 가상환경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현재 메타버스는 사용자가 현실과 유사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습니다.

- 3D 가상 공간: 사용자가 가상 세계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구축됩니다.

- 시각 및 청각 중심: 3D 그래픽과 서라운드 사운드 기술을 통해 몰입감을 높이며, 일부 플랫폼은 햅틱 기술을 활용해 촉각 경험을 제공합니다.

- 접근 방식: VR/AR 장비를 통한 몰입형 경험과 함께, 모바일 및 PC에서도 가상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2) 상호 연결된 공간 (Interconnected Spaces)

메타버스는 단일 플랫폼이 아닌 여러 가상 공간과 서비스가 연결된 생태계를 지향합니다.

사용자는 가상 세계 간 이동이 가능하며, 여러 경험을 하나의 메타버스 환경 안에서 탐험할 수 있습니다.

이 상호 연결은 기술적(서버와 데이터), 경제적(가상 자산과 화폐), 그리고 사회적(사용자 커뮤니티와 관계)으로 이루어집니다.

 

3) 사용자 제작 콘텐츠 (User-Generated Content, UGC)

사용자는 단순한 소비자 역할을 넘어 콘텐츠 제작자가 됩니다.

- 창작 도구 제공: 누구나 가상 환경, 캐릭터, 아이템 등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도구를 지원받습니다.

- 공유 및 거래: 제작된 콘텐츠는 플랫폼 내에서 공유되거나 거래되어 창작자에게 수익을 창출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메타버스 내의 콘텐츠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4) 아바타와 디지털 정체성 (Avatars and Digital Identity)

메타버스는 사용자가 자신을 대변할 디지털 아바타를 통해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사용자는 아바타의 외형, 의상, 동작을 개인화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합니다. 아바타는 단순한 시각적 표현을 넘어,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된 활동 이력을 포함하는 디지털 ID의 역할을 합니다.

 

5) 사회적 상호작용과 커뮤니티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ty)

메타버스는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과 커뮤니티 형성을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사용자는 가상 공간에서 다른 사용자들과 소통하며, 친구 관계를 형성하거나 협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텍스트, 음성, 제스처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가상 이벤트(콘서트, 전시회 등)나 협업 활동(회의, 공동 프로젝트)도 가능합니다.

 

6) 가상 경제 시스템 (Virtual Economy)

메타버스에서는 디지털 자산과 가상 화폐를 통해 경제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 가상 화폐: 플랫폼 별로 통용되는 디지털 화폐가 있으며, 이를 통해 아이템 구매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 디지털 자산 소유권: NFT 기술을 통해 사용자 창작물이나 가상 자산의 소유권이 보장되며, 이를 거래할 수 있습니다.

- 경제 활동의 확장성: 메타버스 내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직업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패션 디자이너, 가상 부동산 개발자).

 

7) 지속성 (Persistence)

메타버스는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더라도 세계가 계속해서 변화하고 진화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사용자가 만들어 놓은 환경이나 활동의 결과가 저장되고, 시간에 따라 환경이 변화합니다. 이를 통해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유사한 "영속적인"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8) 기술 기반 (Technological Foundation)

메타버스는 여러 최첨단 기술이 결합되어 발전하고 있습니다.

- 네트워크: 5G, 클라우드 컴퓨팅, 엣지 컴퓨팅을 활용한 초저지연 통신을 활용합니다.

- AI: 가상 캐릭터(NPC), 콘텐츠 생성, 사용자 행동 분석에 활용합니다.

-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의 거래와 소유권 보장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됩니다.

- XR(확장현실): VR, AR, MR 기술의 통합을 통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뭅니다.

 

 

3. 메타버스 플랫폼

대중들이 인식하는 메타버스의 플랫폼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모여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생성하고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만날 수 있는 플랫폼

 

1) 마인크래프트 (Minecraft)

NVIDIA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이 최고의 메타버스후보로 꼽은 마인크래프트는 2009년 모장(Mojang) 스튜디오에서 처음 발매한 게임으로, 대부분의 게임이 어느 정도의 목적과 스토리를 제공하는 것과 달리 마인크래프트는 아무것도 제공하지 않는, 그야말로 에서 시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는 여러 가지 모드를 제공하며, 기본 모드로는 "서바이벌 모드(Survival Mode)""크리에이티브 모드(Creative Mode)"가 있습니다. 서바이벌 모드에서는 자원을 수집하고 적으로부터 생존해야 하며,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는 무적 상태에서 원하는 대로 세계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드코어’, ‘어드벤처등 다양한 모드가 존재하여 사용자들이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크리에이티브 모드"를 활용하여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고, 이를 "서바이벌 모드"에서 체험하는 방식은 메타버스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잘 보여줍니다. 이러한 개방성 덕분에 국경 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가 마인크래프트 내에 검열 없는 도서관을 구축하는 등, 현실 세계와 연결된 메타버스 활용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로블록스 (Roblox)

로블록스는 마인크래프트보다 더 오래된 2006년에 출시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레고와 비슷한 캐릭터를 다양한 아이템으로 꾸밀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마인크래프트와는 달리, 로블록스에서는 블록이 직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형태로 존재하며,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가상 세계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로블록스 스튜디오는 게임 제작 도구처럼 설계되어 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 Lua를 기반으로 하는 로블록스 스크립트를 활용해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규칙과 효과를 만들 수 있도록 합니다.

 

다만, 게임 개발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에게는 제작 과정이 어려울 수 있지만, 다양한 온라인 자료와 커뮤니티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로블록스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플랫폼 내 다양한 세계가 확장되고 있으며, 수익화 기회도 제공합니다.

 

3) 제페토 (Zepeto)

제페토는 2018년 스노우(SNOW) 주식회사에서 출시한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캐릭터의 성별, 생김새, 의상 등을 자유롭게 꾸밀 수 있습니다.

 

제페토는 최근 유명 해외 브랜드와 제휴를 통해 가상 의상 착용 및 팬미팅 등 다양한 활동을 선보이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SK텔레콤의 이프랜드(ifland)와 같은 유사 서비스의 개발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사용자들은 "제페토 스튜디오(Zepeto Studio)" "빌드잇(Build It)"이라는 도구를 활용해 의상과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플랫폼 내에서 판매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됩니다. 이는 메타버스 내에서 개인 창작물을 통한 경제 활동을 잘 보여줍니다.

 

4) 포트나이트 (Fortnite)

포트나이트는 2017년에 출시된 배틀로얄 게임으로 시작했으나, 현재는 콘서트, 영화 상영 등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확장되었습니다.

 

포트나이트는 고품질 3D 그래픽과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배틀로얄 모드 외에도 가상 이벤트와 같은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의 사용자들과 실시간으로 경쟁하거나 협력할 수 있으며, 스킨, 무기 등 다양한 아이템의 거래와 같은 경제 활동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포트나이트의 이러한 확장성은 게임의 경계를 넘어선 메타버스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5) 개더타운 (Gather.town)

개더타운은 마인크래프트, 로블록스, 제페토와 같은 3D 기반 플랫폼과 달리, 2D 롤플레잉 게임(RPG) 스타일의 UI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비대면 재택근무 환경에서 가상 오피스를 구성하고, 회의와 협업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개더타운의 차별화된 특징은 웹캠과 결합된 화상회의 기능으로, 사용자들은 현실감 있는 회의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필립 왕(Phillip Wang) 개더 공동창업자는 온라인 회의에서 오는 피로감을 줄이기 위해 공간 음향 기술과 현실적인 인터페이스를 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6) 호라이즌 월드(Horizon worlds)

2019년 페이스북은 오큘러스(Oculus) 컨퍼런스에서 호라이즌이라는 가상현실 세계를 발표되었다. 앞의 플랫폼들은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호라이즌은 가입하기 위해서는 오큘러스 VR 헤드셋이 필요합니다.

 

호라이즌에 접속하면 가상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가상의 공간에서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의 플랫폼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가상현실 헤드셋과 제스처(Gesture)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좀 더 몰입감 있는 환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호라이즌 역시 월드 빌더(World Builder)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가상의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가상현실 헤드셋을 활용하여 좀 더 자유롭고 몰입감 있는 환경에서 제작이 가능합니다.2019년 메타(구페이스북)는 오큘러스(Oculus) 컨퍼런스에서 호라이즌 월드라는 가상현실 세계를 발표하였습니다. 앞의 플랫폼들은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호라이즌 월드는 가입하기 위해서는 오큘러스 VR 헤드셋이 필요합니다.

 

호라이즌 월드에 접속하면 가상의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가상의 공간에서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의 플랫폼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가상현실 헤드셋과 제스처(Gesture)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좀 더 몰입감 있는 환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호라이즌 역시 월드 빌더(World Builder)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가상의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가상현실 헤드셋을 활용하여 좀 더 자유롭고 몰입감 있는 환경에서 제작이 가능합니다.

 

7) 디센트럴랜드 (Decentraland)

디센트럴랜드는 2017년에 출시된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이 가상 부동산을 소유하고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센트럴랜드는 가상 부동산 외에도 게임과 소셜 활동을 지원하며, 사용자는 부동산을 구매하거나 임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세계를 설계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 디센트럴랜드는 NFT 기술을 활용해 소유권을 보장하며, 이러한 기술적 기반 덕분에 현실 세계와 연결된 경제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8) 더 샌드박스 (The Sandbox)

더 샌드박스는 2012년에 처음 출시된 모바일 게임 플랫폼에서 시작되어, 2021년에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발전한 사례입니다.

 

더 샌드박스는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과 자체 암호화폐 SAND를 사용하여 사용자들이 가상 부동산을 구매하고, 이를 통해 자신만의 게임과 소셜 활동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창작 도구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게임과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된 콘텐츠는 플랫폼 내에서 거래되거나 공유될 수 있습니다.

 

9) 픽셀월드 (Pixel Worlds)

픽셀월드는 2021년에 출시된 블록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다양한 블록을 활용해 가상 공간을 설계하거나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플랫폼은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를 활용한 디지털 아이템 거래를 지원하며, 사용자들이 창작물을 통해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픽셀월드는 간단한 블록 디자인과 쉬운 접근성으로 인해 다양한 연령층의 사용자가 활용하고 있습니다.

 

10) 오션파크 (Ocean Park)

오션파크는 2022년에 출시된 메타버스 기반 NFT 게임 플랫폼으로, 다양한 게임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가상 부동산을 소유하거나 NFT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실과 연결된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오션파크는 특히 성능 지향적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몰입감 있는 그래픽과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플랫폼의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1.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Screenshots-of-major-metaverse-platforms_fig4_358128393

2. https://wiki1.kr/index.php/%EB%A9%94%ED%83%80%EB%B2%84%EC%8A%A4_%ED%94%8C%EB%9E%AB%ED%8F%BC

3. https://www.itfind.or.kr/WZIN/jugidong/2018/file2191757066438795-2018(2021.10.13)-40.pdf 4. https://www.itfind.or.kr/WZIN/jugidong/2045/file3349617264053506277-2045(2022.05.11)-17.pdf

5. https://newitlec.com/entry/3%ED%8E%B8-%EB%A9%94%ED%83%80%EB%B2%84%EC%8A%A4Metaverse-%ED%94%8C%EB%9E%AB%ED%8F%BCPlatform%EC%9D%98-%EA%B0%9C%EC%9A%94-%EA%B5%AD%EB%82%B4%EC%99%B8-%EC%82%AC%EB%A1%80-%EC%88%9C%EC%9C%84-%EC%8B%9C%EC%9E%A5%EA%B7%9C%EB%AA%A8

6. https://engineer-daddy.co.kr/entry/%EB%A9%94%ED%83%80%EB%B2%84%EC%8A%A4-%ED%94%8C%EB%9E%AB%ED%8F%BC

7. https://m.blog.naver.com/kcc_press/223509084615

8. https://gadgetinside.kr/2024%EB%85%84-%EB%A9%94%ED%83%80%EB%B2%84%EC%8A%A4-%ED%94%8C%EB%9E%AB%ED%8F%BC-%EC%99%84%EB%B2%BD-%EB%B9%84%EA%B5%90-%EA%B5%AD%EB%82%B4%EC%99%B8-%ED%8A%B8%EB%A0%8C%EB%93%9C%EC%99%80-%ED%88%AC/

9.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Main-platforms-used-for-Metaverse-Source-https-vincosit-map-metaverse_fig2_373092723

10. https://medium.com/thesandboxkorea/%EB%8D%94-%EC%83%8C%EB%93%9C%EB%B0%95%EC%8A%A4%EB%8A%94-%EC%96%B4%EB%96%A4-%EA%B2%8C%EC%9E%84%EC%9D%BC%EA%B9%8C%EC%9A%94-d746bf66e6b

11. https://www.pcmag.com/reviews/fortnite-for-pc

 

 

728x90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