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내 스마트시티 발전단계

국내 스마트시티는 발전단계를 3단계로 나뉩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 2013 : U-City 구축 

   - 제2기 신도시 및 행복도시 · 혁신도시 등 택지개발 사업에 고속정보통신망 · 시스템(ICT) 구축 사업 결합

   -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 예산으로 3백만당 평균 약 150억원 예산 투입

   - U-Eco City 연구개발(R&D) 사업(’07.8~’13.6, 1,016억원)을 통해 U-City 기본 서비스 및 요소기술, 통합플랫폼 등 기반  기술 개발

 2) 2014 ~ 2017, 시스템 연계

   -  구축된 스마트 인프라 활용을 극대화 위해 공공을 중심으로 정보 및 시스템 연계 사업 추진

   - 지능화 도시정보시스템 R&D 사업(’13~’19, 236억원)을 통해 개발한 공공분야 5대 연계서비스* 기반 통합플랫폼 보급** 시작

    * 112 긴급영상 · 긴급출동 119 긴급출동, 재난안전상황 사회적약자 지원

    ** 개소당 총사업비 12억원(국비 · 지방비 각 50%), 19년 현재 37개 지자체 보급

 3) 2018~ : 스마트시티 본격화

   - 4차산업혁명 신기술의 테스트베드, 리빙랩, 혁신생태계 등새로운 개념들을 포괄하는 정책으로 확대

   - 정부의 8대 혁신성장 선도사업 중 하나로 국가 시범도시 조성, 기존도시 스마트화 강화, 산업생태계 구축 등 정책 추진

  1단계(~2013) 2단계(2014~2017) 3단계(2018~)
목표 건설 · 정보통신산업 융복합형
신성장 육성
저비용 고효율 서비스 도시 문제해결
혁신 생태계 육성
정보 수직적 데이터 통합 수평적 데이터 통합 다자간 · 양방향
플랫폼 폐쇄형 (Silo 타입) 폐쇄형 + 개방형 폐쇄형 + 개방형 (확장)
제도 U-City
1U-City종합계획
U-City
2U-City종합계획
스마트도시법, 4차산업위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주체 중앙정부(국토부) 중심 중앙정부(개별)
+ 지자체(일부)
중앙정부(협업)
+ 지자체(확대)
대상 신도시(165이상) 신도시 + 기존도시(일부) 신도시 + 기존도시(확대)
사업 통합운영센터, 통신망 등
물리적 인프라 구축
공공 통합플랫폼 구축 및
호환성 확보, 규격화 추진
국가시범도시 조성
다양한 공모사업 추진

제1~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관계도

 

 

2. 사업별 국내 스마트시티 사례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사업은 목적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3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 중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큰 사업은 국가 시범 도시사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분 국가시범도시 혁신성장동력 R&D 스마트시티 챌린지
대상 세종 5-1생활권,
부산 에코델타시티
대구광역시,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광주, 대전, 인천, 부천, 수원, 창원
특징 신규도시 기존도시 스마트화 민간기업 중심 대표 솔루션 실증

 

 

3. 국가시범도시

국가시범도시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개발계획이 없는 부지에 자유롭게 실증·접목을 조성하기 위해 실행되었습니다. 또한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혁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여 미래 스마트시티 선도모델을 제시 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 중에 있으며 국가시범도시는 세종과 부산이 있습니다.

 

 1) 세종 5-1생활권

세종 5-1 생활권

 2) 부산 에코델타시티

부산 에코델타시티

 1) 3기 신도시

   -  수도권 주택보급률은 전국(’16년 기준 102.6%) 대비 낮은 수준으로 주택공급을 위한 택지 확보 등을 통해 안정적인 주택공급 플랜 제시합니다.

    - 행복도시, 2기 신도시 등 진행한 스마트 서비스 접목성과와 함께, 국가 시범도시 추진성과(’21~)를 더하여 3기 신도 시로 확산합니다.

3기 신도시

 

 

4. 혁신성장동력 R&D

 1) 1핵심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는 데이터허브, Massive IoT, 디지털트윈 등 기반기술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통합 운영·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허브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실증도시(대구광역시 및 경기도 시흥시)가 디지털 문명과       제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합니다.

스마트시티 모델 및 기반기술 개발

 2) 2핵심 : 대구광역시는 인프라 기반이 자리잡은 중규모 이상의 도시(면적 885.56km2, 인구 247만명)로서, 교통, 안전, 도시행정 등 시민이 호소하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서비스·기술 개발 및 검증에 초점을 맞춘 Use Case 실증도시입니다.

대구 실증도시

 3) 3핵심 : 경기도 시흥시는 특정 산업에 경제의 기반을 둔 도시(135.05km2, 39만명)로서,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해 도시의 환경, 에너지, 복지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성장 및 재생을 위한 City Lab 실증도시입니다.

시흥 실증도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4. 기존 도시 스마트화

 1) 테마형 특화단지

   총 5년 간 총 100 곳 이상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테마형 특화단지(’18~), 챌린지(’19~) 등 기존도시 스마트화 사업 추진합니다.

'18년 테마형 특화단지
'19년 테마형 특화단지

 3) 도시재생 뉴딜사업

  쇠퇴 도시에 대해 도시재생과 연계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을 ’22년까지 25곳 이상 추진하고, 그 성과를 뉴딜사업으로 확산합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5. 스마트시티 챌린지

 1) 추진배경 :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지자체 · 시민의 수요를 반영(Bottom-up)하여 솔루션을 발굴하는 새로운 방식의 정책 사업 도입의 목적이 있습니다.

 2) 사업예산 : 6개소(지자체 + 기업 등)를 선정하여, 사업 기획 및 계획수립, 신규 솔루션 접목 · 실증(Pilot Test)을 위해 각 15억원씩 지원합니다.

 3) 추진방향 : 기존 지자체 지원사업과 달리 기업의 적극적 참여와 투자의 유도를 위해 지자체 + 기업단위로 공모 추진하였습니다.

 4) 현황 : 공모에 신청한 48개 지자체 중 6곳 선정(’19.5, 15억 지원)하였습니다.

스마트시티 챌린지 선정 지자체

 

6. 지자체 추진현황 정리

 1) 초기에는, 특별 · 광역시 등이 신도시와 택지개발 사업을 토대로 스마트 인프라 구축사업을 접목하면서, 지자체간 수준 격차 발생하였습니다.

 2) 최근에는, ICT 등 융 · 복합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는 지자체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전국 78개 지자체(광역 17개 시 · 도 전체 + 기초 61, ’19.6)가 스마트도시 과 · 팀 등 전담 조직을 확보중으로, 최근 빠르게 증가 중

      * 지자체 전담조직 추이 : ’1410’1834’19.678

 3) 한편, 정부의 다양한 정책 추진 및 조성 · 확산 노력에 힘입어, 스마트시티 정부지원사업을 추진하는 지자체는 총 67여 곳으로 집계 중입니다.

지자체 추진현황

 

1. https://smartcity.go.kr/

2. http://www.keaj.kr/news/articleView.html?idxno=4575

3. https://www.yna.co.kr/view/AKR20220602189300003

4. https://www.busan.go.kr/ecodelta01

5. 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9351079

6.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60246

 

+ Recent posts